1. 서론
HANARO (High-flux Advanced Neutron Application Reactor)는 우라늄의 핵분열 연쇄반응에서 생성된 중성자를 이용해서 다양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열출력 30 MW 규모 의 연구용 원자로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우리 기술로 설계· 건설해서 199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1].
HANARO의 부속시험시설 중에 밀폐구조의 탈기탱크 (Degasifier tank)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설은 내부의 환경 요인에 의해 기체오염물이 생성될 수 있다. 탈기탱크는 기체 오염물을 허용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위해 필요하며 시료채 취계통의 분석기에 의해 모니터링 된다. 오염기체는 폐기물 저장탱크로 탈기가 이루어지며, 정상운전 중에는 수소를 이 용하여 탈기탱크를 퍼지한다. 탈기탱크내의 수소 및 산소 농 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른 계통인 시료채취계통의 기체샘 플링판넬 내부에 분석기가 설치되어 있다. 분석기는 탈기탱 크 내의 기체농도를 상시 계측한다[2].
기체샘플링판넬의 분석기 내부로 응축수(Condensate water)가 생성되어 유입된다면, 분석기의 측정챔버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여 고장을 야기한다1. 응축수의 생성 원인은 탈기탱크에 존재하는 기체가 분석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탈기탱크와 분석기사이 온도차이다[3]. 온도차를 감소시켜 응축수 생성을 억제하고 계통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효율 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탈기탱크와 기체샘플링판넬 사이의 연결 Pipe 및 기체샘플링판넬 내부에 히팅시스템을 제작 및 설치하였다1. 또한, 히팅시스템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경우 를 대비하여 기체샘플링판넬 내부에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 수시킬수 있는 Drain-port를 제작 및 설치하였다[4].
이 연구를 통하여,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시킴으 로써 부식으로 인한 분석기 오류와 고장을 방지하고 정확한 기체농도를 계측할 수 있게 하는지 알고, 히팅시스템이 응축 수의 생성 억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자 한다.
히팅케이블의 사용량과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 Pipe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히팅케이블을 포설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Fluid inlet temperature, Outside air temperature 및 히팅케이블의 온도변화에 따라 Pipe 온도와 평 균응축량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온도변화 값은 펌프와 각종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방출열을 고려하였다.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하여 Pipe 의 응축량을 해석하였다. 해석은 유한체적법(FVM, Finite Volume Method) 기반의 상용 CFD 소프트웨어인 Ansys CFX를 사용하였다. 모델은 Wall Condensation Model을 이 용하여 응축수의 생성량을 정량화하였다. 응축수를 억제하 기 위하여 Pipe에 설치한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 변화와 위 치에 따라 열전달이 응축에 주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2. 계통
Fig. 1은 탈기탱크와 기체시료채취판넬의 상호관계 개 략도이다. 탈기탱크 상부에 모인 기체는 시료채취판넬의 분 석기를 통해 수소와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 기체는 리턴 펌프에 의해 탈기탱크로 재순환한다[2]. 탱크가 설치되어있 는 계통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계통수의 용존산소를 0.1 ppm 이하로 관리하며, 수소가스 주입으로 산소농도를 유지 시킨다. 탈기탱크는 냉각수 내의 용존산소를 일정하게 유지 시키기위해 99.9%의 수소가 충전된다[2].
계통운전 시 기체유량은 3 SCFH (Standard Cubic Feet per Hour)이며, 탈기탱크 내부 평균온도는 50℃이고, 기체 시료채취판넬 내부에 설치된 분석기 근처의 온도는 30℃이 다. 따라서, 탈기탱크와 분석기 입구 사이의 온도차는 20℃ 이다[5].
3. Wall Condensation Model
Wall Condensation Model은 증기 및 공기와 같은 가 변 조성 혼합물의 응축 가능한 성분의 응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얇은 액체막(Liquid film)으로 응축될 수 있도 록 충분히 차가워진 벽 또는 유체 경계면에서 응축이 발생 된다. 열전달에 대한 1차 저항은 응축성분 농도의 경계구배 (Boundary gradient)에 의해 야기되고, 액체막은 열전달 저 항에 대한 기여가 무시할 정도로 충분히 얇다고 가정한다. 응축은 응축 성분의 경계질량소멸(Boundary mass sink) 로 모델링되어 유체 도메인으로부터 응축수의 응축 질량을 효 과적으로 제거한다. 액체막의 Flow는 모델링 되지 않는다 [6]. 유체 영역에서 액체막으로 들어가는 질량을 제거하여 질 량소멸로 응축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Wall Condensation Model에서 수행된 원리 단순화는 Fig.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A는 비응축성 가스이며, B는 응축성물질이며, Bliq는 응축수이며, T는 두께이며, P는 압력 이며, PBsat는 B의 포화압력이다[7].
Wall Condensation Model은 하나의 응축 가능한 구성 성분만 허용한다. 이 모델은 액체벽 막에 의해 유도된 열전 달 저항의 변화는 무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응축 가스의 농 도 구배는 열전달 저항의 주 원인으로 가정한다. 층류 및 난 류 경계층은 표면 Condensation mass flux 측면에서 다르게 처리된다[6,7]. 층류의 경우, Condensation mass flux (MB)는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mB가 Mass transfer coefficient인 경우, x는 몰분율이고, δ는 경계층의 높이이다. 아래 첨자 B는 응축 성분을 나타낸다.
Mass transfer coefficient는 식 (2)와 같이 계산된다.
WB 및 Wm은 각각 응축 및 혼합물(응축성 및 비응축성) 의 분자량이며, DAB는 이성분 확산계수이며, ρm은 혼합물의 밀도이다. 계면 및 액체막 열평형은 응축 몰분율을 얻기위해 계면에서 가정된다[6,7].
열평형은 수증기의 분압이 주어진 온도에서 포화압력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수증기는 포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Liquid interface (액체 계면)에서 증기가 과포화 습증기 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화한 것이다[6].
난류 경계층에 대해, Condensation mass flux는 식 (3) 과 같이 계산된다.
TM이 난류 Wall function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 Wall multiplier이며, YBP는 Wall 근처의 그리드 지점에서 응축 성 분의 Mass fraction이며, YBW는 Wall에서 응축 성분의 Mass fraction을 나타낸다.
응축으로 인한 잠열은 고체 Boundary로 방출된다. 그러 나 등온 Wall을 사용한다면 잠열 방출 효과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6]. 이 모델을 사용하면 응축이 고체의 표면 을 따라 고체 Boundary에 대한 열원으로 볼 수 있다.
방출된 열(Q)은 식 (4)에 도시한 바와 같이(난류 경계층에 대한 Condensation mass flux의 표시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본 실험 조건에 의하면 Reynolds number는 층류에 가까 운 조건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실제 파이프가 곡관 형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낮은 Reynolds number로 예측 되더라도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확신할 수 없어 층류 및 난류 모델에서의 응축 해석이 가능한 SST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ce Model을 적용하였다. Option은 Automatic wall function이 사용되었다[6]. Wall Condensation Model에 사용된 SST Turbulence Model은 eddy-viscosity 공 식의 이송 효과를 포함하여 불리한 압력 구배 하에서 개시 및 Flow 분리량을 매우 정확하게 계산하도록 설계되어있다[8]. 또한, SST Turbulence Model은 자동으로 근접 벽 처리를 실 행하기위해 사용되며 층류 및 난류에 대한 응축 해석이 복합 적으로 가능하다[6,8]. 본 연구에서도 이런 점들이 고려되어 SST Turbulence Model을 사용하였다.
Wall Condensation Model은 파이프나 탱크 같은 공간 내 에서 공기 중 수증기가 벽면으로 응축해서 제거되는 양으로 응축량을 계산하는 해석 모델이며 단상 해석에 사용된다[8]. 이 연구는 유체가 파이프의 Inlet에서 Outlet으로 흐를때 벽 면에서 제거되는 응축수량을 해석하는 것이므로 Wall Condensation Model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해석에 적용하였다.
3.1 Mesh information
Table 1은 4개의 Mesh를 생성하고 이것들의 그리드 속 성을 나타낸 표이며 격자수와 y+ 값을 평가하였다. y+ 값이 약 0.03으로 같은 두 Mesh 중에서 격자수가 많은 Mesh 1을 선택하여 본 논문에 사용하였다. Table 1에서 Mesh 2 ~ 4는 Inflation 조건을 Mesh 1과 달리해서 해석한 것이다[6].
Table 1
Mesh 1 | Mesh 2 | Mesh 3 | Mesh 4 | |
---|---|---|---|---|
|
||||
Number of nodes | 2292036 | 1688120 | 2995680 | 4272464 |
Number of elements | 7352836 | 1517614 | 2810984 | 4032730 |
Avg. y+ (Fluid) | 0.03 | 0.03 | 0.001 | 0.0009 |
Dimensionless wall distance (무차원 벽 거리) y+는 식 (5)와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u* (m·s-1)는 가장 가까운 벽에서 마찰 속도이며, y (m)는 가장 가까운 벽까지 거리이며, υ (m2·s-1)는 유체의 국소 동적 점성도이다. 즉, y+는 벽면에서 첫 번째 격자까지 거리를 무차원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의 공식에서 가장 가 까운 벽까지의 거리 y가 커지면 y+가 커져서 벽면에서 첫 번 째 격자까지 거리가 넓어지게 되는 것이고, y가 작아지면 y+ 가 작아져서 벽면에서 첫 번째 격자까지 거리가 좁아지게 되 는 것을 의미한다.
y+는 간단히 y plus라고 부르며 경계층 이론과 벽 법칙을 정의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9].
4. 해석조건
탈기탱크는 원통형 밀폐구조의 압력용기이며, 외경은 482.6 mm이며, 높이는 1.83 m이며, 설계압력은 1.138 kPa 이며, 설계온도는 66℃이며, 용량은 0.35 m3이다. 탈기탱 크에서 기체시료채취판넬의 분석기까지 파이프 길이는 약 16.9 m이다[3,10]. 탈기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Pipe의 설계 사양은 ASTM S-40S이며, DN15이며, 반지름(r)은 8.05 mm 이며, 원면적(S)은 203.58 mm2이며, 기체유량은 3 SCFH (2.0388 m3·d-1)이다.
Table 2는 기기와 유체의 주요변수에 대한 값이며, Table 3 은 Pipe inlet temperature에 따른 질량분율을 나타낸다.
Table 2
Main Parameter | Value |
---|---|
|
|
Air molecular weight (g·mol-1) | 28.966 |
Gas constant (atm·L·mol-1·K-1) | 0.0820578 |
Pipe inlet temp. (℃) | 40, 50, 60 |
Outside air temp. (℃) | 30, 35, 40 |
Heating cable temp. (℃) | 40, 50, 60, 70, 100 |
Degasifier tank internal pressure (atm) | 1.069 |
Gas flow rate (SCFH) | 3(2.0388 mm3·d-1) |
Flow velocity (m·s-1) | 0.1159 |
Table 3
Pipe inlet temp. (℃) | Air density (at 1.069 atm, g·m-3) | Saturated water vapor (at 1.069 atm, ·m-3) | H2O Mass fraction |
---|---|---|---|
|
|||
40 | 1205.6 | 51.1 | 0.041 |
50 | 1168.27 | 82.8 | 0.066 |
60 | 1133.19 | 130 | 0.103 |
Fig. 4는 Pipe의 히팅케이블 적용과 미적용을 반복하여 구현한 상태와 열전달계수(Heat transfer coefficient), Outside air temperature,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를 전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해석을 위해 선정된 Pipe의 길이는 1 m 이고, 5 등분 하였다. 히팅케이블은 20 cm 간격을 두어 구현하였다. 히 팅게이블의 온도를 40, 50, 60, 70, 100℃로 각각 설정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열전달계수가 1 W·m-2·K-1 일 때, 0 kg·m-2·d-1로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았고, 열전달계수가 5 W·m-2·K-1 일 때, 약 0.0001 kg·m-2·d-1의 응축수가 생성되었 다. 이 두가지 경우를 비교했을 때, 열전달계수 1 W·m-2·K-1과 5 W·m-2·K-1의 차이는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또 한, 수렴성 문제로 열전달계수를 1 W·m-2·K-1로 선정하였다 [11]. 히팅케이블을 전체가 아닌 일부만 포설한 것으로 구현 하여 해석한 이유는 경제성을 고려한 것이다.
5. 결과 및 고찰
5.1 히팅케이블 미적용 결과
Fig. 5에서 유체의 Inlet temperature 50℃, Outside air temperature 40℃로 설정하고 히팅케이블을 적용하지 않았 을 경우,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평균응축량은 1.06 kg·m-2·d-1 이다. 이때의 유속은 0.1159 m∙s-1 (3 SCFH)이며, H2O Mass fraction은 0.066 이다.
Fig. 6에서 히팅케이블을 적용하지 않고 Inlet temperature 40℃, Outside air temperature 40℃로 설정하였을 경우, 온도 차가 없기 때문에 응축량이 0 kg·m-2·d-1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의 유속은 0.1159 m∙s-1이며, H2O Mass fraction은 0.041 이다.
Table 4는 히팅케이블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파이프 의 Inlet temperature와 Outside air temperature의 변화에 따라 해석한 평균응축량을 정리한 것이다. 파이프의 Inlet temperature 50℃, Outside air temperature 30℃ 일때의 경 우가 현장의 온도 조건과 가장 유사하며 이때 평균응축량은 1.94 kg·m-2·d-1 이다.
Table 4
Pipe inlet temp. (℃) | H2O ave. condensate water (kg·m-2·d-1) | ||||
---|---|---|---|---|---|
|
|||||
Outside air temp. (℃) | |||||
|
|||||
30 | 35 | 40 | |||
|
|||||
60 | 3.50 | 3.16 | 2.71 | ||
50 | 1.94 | 1.56 | 1.07 | ||
40 | 0.79 | 0.39 | 0 |
Table 4의 값을 아래 Fig. 7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파 이프 Inlet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응축량은 증가하였고 Outside air temperature가 증가할 때는 Inlet 온도와의 차이 가 줄어들어 평균응축량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히팅케이블 을 미적용한 것으로 해석했을 경우, Outside air temperature 의 변화가 응축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5.2 히팅케이블 적용 결과
히팅케이블 적용 시, Table 5는 파이프 Inlet 온도 60℃일 경우, Table 6은 Inlet 온도 50℃일 경우, Table 7은 Inlet 온도 40℃일 경우를 Heating cable setting temperature에 따른 평 균응축량과 Pipe의 최소온도를 각각 표로 나타내었다.
Table 5
Inlet temp.: 60℃, Gas flow rate: 3 SCFH | |||
---|---|---|---|
|
|||
Heating cable setting temp. (℃) | Outside air temp. (℃) | Ave. condensate water (kg·m-2·d-1) | Pipe minimum temp. (℃) |
|
|||
100 | 30 | 0 | 93 |
70 | 30 | 0 | 68.2 |
60 | 30 | 0 | 59 |
50 | 30 | 1.37 | 49.4 |
40 | 30 | 2.62 | 39.7 |
100 | 35 | 0 | 93 |
70 | 35 | 0 | 68.2 |
60 | 35 | 0 | 59.1 |
50 | 35 | 1.61 | 49.4 |
40 | 35 | 2.85 | 39.4 |
100 | 40 | 0 | 93 |
70 | 40 | 0 | 68.2 |
60 | 40 | 0 | 59.3 |
50 | 40 | 1.42 | 49.5 |
40 | 40 | 2.6 | 40 |
Table 6
Inlet temp.: 50℃, Gas flow rate: 3 SCFH | |||
---|---|---|---|
|
|||
Heating cable setting temp. (℃) | Outside air temp. (℃) | Ave. condensate water (kg·m-2·d-1) | Pipe minimum temp. (℃) |
|
|||
100 | 30 | 0 | 91 |
70 | 30 | 0 | 66.4 |
60 | 30 | 0 | 58.2 |
50 | 30 | 0 | 49.3 |
40 | 30 | 1.1 | 39.6 |
100 | 35 | 0 | 91 |
70 | 35 | 0 | 66.4 |
60 | 35 | 0 | 58.2 |
50 | 35 | 0 | 49.5 |
40 | 35 | 1.06 | 39.8 |
100 | 40 | 0 | 91 |
70 | 40 | 0 | 66.4 |
60 | 40 | 0 | 58.2 |
50 | 40 | 0 | 49.6 |
40 | 40 | 1.02 | 40 |
Table 7
Inlet temp.: 40℃, Gas flow rate: 3 SCFH | |||
---|---|---|---|
|
|||
Heating cable setting temp. (℃) | Outside air temp. (℃) | Ave. condensate water (kg·m-2·d-1) | Pipe minimum temp. (℃) |
|
|||
100 | 30 | 0 | 88.7 |
70 | 30 | 0 | 64.4 |
60 | 30 | 0 | 56.3 |
50 | 30 | 0 | 48.1 |
40 | 30 | 0 | 39.6 |
100 | 35 | 0 | 88.7 |
70 | 35 | 0 | 64.4 |
60 | 35 | 0 | 56.3 |
50 | 35 | 0 | 48.1 |
40 | 35 | 0 | 39.8 |
100 | 40 | 0 | 88.7 |
70 | 40 | 0 | 64.4 |
60 | 40 | 0 | 56.3 |
50 | 40 | 0 | 48.1 |
40 | 40 | 0 | 40 |
Table 5의 값을 Fig.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Fig. 8(a) 는 평균응축수량이고 Fig. 8(b)는 파이프의 최소온도이다. 히 팅케이블 온도를 Inlet temperature 60℃ 보다 낮게 설정할 경 우, 온도차에 의해 응축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Pipe의 최소 온도는 각각 히팅케이블의 적용온도 값에 가깝거나 같았다. 히팅케이블이 미적용되었을 경우와 달리 Outside air temperature가 응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Inlet 온도가 60℃일 경우,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 60℃ 이상 에서는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았다.
Table 6의 값을 Fig. 9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Fig. 9(a)는 평균응축수량이고 Fig. 9(b)는 파이프의 최소온도이다. 히팅 케이블 온도를 Inlet temperature 50℃보다 낮게 적용 할 경 우, 응축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Pipe의 최소온도는 각각 히 팅케이블의 적용온도 값보다 약간 작거나 같았다. 히팅케이 블을 미적용하였을 경우와는 달리 적용으로 해석하였을 경 우, Outside air temperature가 응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 였다. Inlet 온도가 50℃일 경우,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 50℃ 이상에서는 응축이 발생하지 않았다.
Table 7의 값을 Fig. 10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Fig. 10(a)는 평균응축수량이고 Fig. 10(b)는 파이프의 최소온도이다. Inlet 온도 40℃까지는 응축이 발생하지 않았고 Fig. 8(a) 또는 9(a)의 경향으로 응축수량을 미루어 볼 때, Inlet temperature 40℃ 이하에서 응축이 발생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러나, 히팅케이블 온도를 40℃ 이하로 설정하여 Pipe의 최소 Inlet temperature 40℃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 에 본 연구에서는 해석하지 않았다. Inlet temperature 40℃ 의 경우, Pipe의 최소온도는 각각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보 다 약간 작거나 비슷했다. 히팅케이블을 미적용하였을 경우 와 달리 Outside air temperature가 응축에 미치는 영향도 Fig. 8(b) 또는 9(b)와 마찬가지로 미미하였다. Fig. 10(a)는 히팅케이블 온도 40℃에서 Outside air temperature에 상관없 이 평균응축량이 0 인 것을 보여주며, 값이 모두 0 으로 같기 때문에 그래프에 하나의 선으로 겹쳐서 나타난다. Fig. 10(b) 는 Outside air temperature 30, 35, 40℃에 따른 Pipe 최소온 도이며, 히팅케이블의 설정온도에 따라 Pipe 최소온도 값이 비슷하기 때문에 하나의 선으로 겹쳐서 나타나 보인다.
Fig. 11은 Inlet temperature 60℃, Outside air temperature 35℃ 및 Heating cable setting temp. 40℃에서 응축량 을 계산한 것이다. H2O Mass fraction은 0.103이며, 유속은 0.1159 m∙s-1이다. 이때 평균응축량은 2.85 kg·m-2·d-1이다.
Fig. 11에서 알 수 있듯이 Inlet temperature가 60℃일 때, 히팅케이블 온도를 40℃로 설정할 경우, Inlet temperature 60℃보다 Pipe 온도가 낮기 때문에 포화수증기량곡선에 따라 응축이 발생한다.
Fig. 12는 Inlet temperature 50℃, Outside air temperature 35℃ 및 Heating cable setting temp. 40℃에서 응축 량을 계산한 것이다. H2O Mass fraction은 0.066이며, 유속 은 0.1159 m∙s-1이다. 이때 평균응축량은 1.06 kg·m-2·d-1이 다. Fig. 12에서 알 수 있듯이 Inlet temperature가 50℃일 때, 히팅케이블 온도를 40℃로 설정할 경우, Inlet temperature 50℃보다 Pipe 온도가 낮기 때문에 포화수증기량곡선에 따 라 응축이 발생한다.
6.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료채취계통의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응 축수 생성 억제를 위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히팅케이블 온도를 최소한 Inlet temperature 보다 높게 유지할 경우 응 축수가 생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히팅케이블 온도가 Inlet temperature 보다 낮으면 반드시 응축수가 생성되며, Inlet temperature 50℃, 히팅케이블 온도 40℃, Outside air temperature 35℃일 경우 생성되는 평균응축수의 양은 1.06 kg·m-2·d-1이다. 이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Inlet temperature 50℃보다 높은 히팅케이블 온도를 설정해야 한다.
Inlet temperature 60℃, 히팅케이블 온도 60℃ 및 Outside air temperature 30℃ 조건에서 60%의 히팅케이블 적용 만으로 효율적으로 응축수 생성을 억제하여 경제성이 입증 되었다. 히팅시스템에 의한 응축수 억제로 분석기의 사용수 명을 충분히 연장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농도 측정 계측기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계측기 주변에 온도차에 의해 서 응축수가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위치는 피해서 설치해야 한다. 불가피하게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는 곳에 계측기를 설 치해야하는 경우에는 설치된 장치 주변에 응축수를 제거하 기 위한 추가 히팅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