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View PDF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738-1894(Print)
ISSN : 2288-5471(Online)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Vol.17 No.3 pp.347-353
DOI : https://doi.org/10.7733/jnfcwt.2019.17.3.347

Effect of the Composition of a Reduced Fuel on the Concentration Change of UCl3 in the Electrorefiner

Seungwoo Paek*, Chang-Hwa Lee, Sung-Jai Le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ero 989beon-gil,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Seungwoo Paek,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E-mail: swpaek@kaeri.re.kr, Tel: +82-42-868-8099
August 14, 2019 September 11, 2019 September 23, 2019

Abstract


The composition of the reduced fuel produced in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of pyroprocessing affects the concentration change of UCl3, an important operating variable of the electrorefining proc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 change of UCl3 in the electrorefiner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RU and RE elements in the reduced fuel and the concentration of Li2O introduced in the electrorefiner accompanied with the reduced fuel. Considering only the TRU and RE elements, the concentration of UCl3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electrorefining operation batch. In order to operate one campaign (20 batches) of electrorefining process, it was found that additional injection of UCl3 should be conducted more than 3 times.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UCl3 in the electrorefiner chang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Li2O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operable electrorefining batches decreased rapidly, show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Li2O is an important operating variable in electrorefin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UCl3 in the electrorefiner, the operation mode should be set by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 of Li2O as well as the TRU and RE elements contained in the reduced fuel.



금속전환체 조성의 전해정련 전해조 UCl3 농도변화에 대한 영향

백 승우*, 이 창화, 이 성재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111

초록


파이로프로세싱의 전해환원공정에서 생산된 금속전환체의 조성은 전해정련공정 운전의 중요한 운전변수인 용융염 중 UCl3 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속전환체에 함유된 TRU와 RE 원소의 함량 및 금속전환체에 동반 되어 전해정련 전해조에 유입될 수 있는 Li2O 농도가 전해정련 전해조의 UCl3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금속 전환체의 TRU 원소와 RE 원소의 농도만을 고려하였을 때 전해정련 운전 batch 수 증가에 따라 UCl3 농도가 감소하였다. 전 해정련 1 campaign(20 batch)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UCl3를 3회 이상 추가 보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전해정련 전해조에 유입되는 Li2O의 유입량 증가에 따라 UCl3 농도 감소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운 전 가능 batch 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전해정련 운전에 중요한 운전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해정련 운 전 중 UCl3 농도 유지를 위해 금속전환체에 포함된 TRU 및 RE 원소뿐만 아니라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유입될 가능성이 있 는 Li2O의 영향도 고려하여 전해정련 운전모드를 설정하여야 함을 보여주었다.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7M2A8A5015079
    ©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파이로프로세싱은 고온(500 ~ 650℃)의 용융염에서 전 기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우라늄과 TRU (Transuranic, 초우라늄) 원소의 유용한 핵물질을 분리·회수하여 고속증식 로에서 재순환·소멸시킴으로써 고준위폐기물 양을 크게 감 소시키기 위한 선진 핵연료주기 기술의 하나이다[1,2]. 가압 경수로에서 발생하는 산화물 사용후핵연료를 고속로의 금 속핵연료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금속으로 전환한 후 전해 정련공정을 통하여 우라늄을 회수하게 된다. 산화물 사용후 핵연료를 금속으로 전환시키는 공정이 전해환원공정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650℃의 LiCl 용융염에서 Li에 의 한 금속환원반응과 Li2O의 금속 Li으로의 환원반응이 하나 의 전해셀에서 동시에 일어나도록 결합시킨 기술을 연구하 고 있다. 전해환원 공정에서 환원된 금속전환체를 이용하여 500℃의 LiCl-KCl 공융염에서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거 의 순수한 우라늄만을 회수하는 공정이 전해정련공정이며 운전초기의 전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농도의 UCl3가 필요하다. 전해정련공정 운전 시에 사용후핵연료에 함유된 TRU (Transuranium)와 RE (Rare Earth, 희토류) 원 소는 운전초기에 공융염에 주입된 UCl3와 반응하여 염화물 의 형태로 공융염에 축적되며, 이에 따라 UCl3의 농도는 계 속 감소하게 된다[3]. 한편 전해환원공정에 첨가된 Li2O는 금 속전환체의 동반 염 제거를 위한 증류공정에서 금속전환체 의 재산화 반응을 일으키거나 증류공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금속전환체와 함께 동반되어 전해정련공정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6]. 전해정련공정의 양극으로 이용되는 금속전환체에 동반된 Li2O는 전해정련공정 전해조의 UCl3와 반응하여 우라늄 산 화물을 생성함으로써 전해조의 UCl3 농도를 낮추게 된다. 전해조의 UCl3 농도가 낮아지면 회수하는 우라늄에 TRU 및 RE 원소가 우라늄에 불순물로 동반될 수 있으므로 일정농 도 이상의 UCl3 농도 유지를 위해 UCl3를 보충해 주어야 한 다. 전해정련공정 전해조의 UCl3 농도 유지는 전해정련공 정의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 관리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운전변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해환원공정의 생산 물인 금속전환체의 조건(TRU, RE 및 Li2O 농도)에 따른 전 해정련 전해조의 UCl3 농도변화를 예측하고, UCl3 관리방 안을 제시함으로써 전해정련공정 운전의 효율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2. 전해환원-전해정련공정 연계운전 특성

    2.1 전해환원공정에서의 Li2O 거동

    산화물 사용후핵연료를 금속으로 전환시키는 전해환 원공정은 LiCl 용융염에서 리튬환원기술의 금속환원반응과 Li2O가 Li로 전환되는 환원반응이 하나의 전해셀에서 동시에 일어나도록 결합시킨 기술이다. 전해환원공정에서 금속으로 전환된 금속전환체는 후속 공정인 전해정련공정의 양극으로 이용되어 우라늄회수에 활용된다. 그러나, LiCl 용융염을 동 반한 금속전환체를 직접 전해정련 전해조에 이용하게 되면 전해정련공정의 LiCl-KCl 공융염의 조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 다.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잔류염을 제거하기 위 한 고온 염증류 공정(salt distillation)을 거치게 된다[7-9]. 이 때, LiCl은 제거되지만 Li2O는 매우 낮은 증기압으로 인해 제 거되지 않는다[9]. 따라서, 금속전환체에 잔류하는 LiCl에 동 반된 Li2O의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4-6]. 환원 된 금속전환체는 증류공정을 거치며 동반된 LiCl염에 포함된 Li2O와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U + 2Li 2 O = UO 2  + 4Li
    (1)

    연구결과에 따르면 증류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전환 체와 Li2O의 반응성이 커지며 온도가 낮으면 동반된 Li2O의 반응성이 작아 미반응 Li2O가 금속전환체에 잔류하여 전해정 련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2.2 전해정련공정에서의 UCl3 농도조절

    전해정련공정은 전해환원공정에서 생성된 금속전환체 로부터 500℃의 LiCl-KCl 공융염에서 순수한 우라늄을 고체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회수하 는 공정이다. 금속전환체를 양극으로 고체전극을 음극으로 적용하여 전류를 인가하면 열역학적 특성에 의해 UCl3 보다 염화물로 더 안정한 TRU 및 RE 원소는 염화물의 형태로 공 융염에 용해되지만 귀금속과 전이금속들은 UCl3와 반응하 여 용해되지 않고 양극바스켓에 잔류하게 된다. 이 때 표준 전위가 가장 큰 우라늄이 고체음극에 전착됨으로써 순수한 우라늄을 회수할 수 있다. 전해정련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우 라늄은 음극에 전착되어 회수되지만 공융염 중에는 TRU 및 RE 원소가 축적되어 그 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어느 시점에 서는 TRU원소들도 고체음극에 전착하게 된다. 그러나 용융 염 내 UCl3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조건에서 는 TRU원소들이 아래와 같은 반응식에 의해 전착된 TRU원 소가 염화물의 형태로 변화하므로 순수한 우라늄만을 회수 할 수 있게 된다[11].

    TRU (cathode) + UCl 3  (salt) = TRUCl 3  (salt) + U (cathode)
    (2)

    따라서, 순수한 우라늄만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공융염 내의 UCl3 농도를 일정 농도 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실제 전 해정련 운전에서는 UCl3 농도의 하한 값을 설정하고 이 값에 도달하면 UCl3를 추가로 투입하여 전해조의 UCl3 농도를 초 기농도까지 증가시킨 후, 우라늄 회수 운전을 수행하는 과정 을 반복하여 운전한다. 따라서, LiCl-KCl 공융염 중의 UCl3 농 도 조절은 전해정련공정 운전의 가장 중요한 운전변수이다.

    3. 전해정련 전해조의 농도변화

    3.1 UCl3 농도 예측을 위한 공정 기본 설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 기술개발을 위하여 사용후핵연료의 기준을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사용후핵연료는 4.5 wt% 235U의 핵 연료에 대해 연소도는 55,000 MWD/MTU 이며 10년 냉각된 산화물핵연료 10 MTU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 때, 처리될 사 용후핵연료의 주요 핵종 그룹의 함량은 Table 1과 같다. 여 기서 고려된 TRU는 Pu, Am, Np 및 Cm이며, RE 원소는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및 Dy이다. 파이로프 로세싱 기술은 연속식 공정이 아니라 회분식(batch) 공정이 다. 따라서, 실험실 규모의 실험으로부터 공학규모로 용량을 증대하였을 때에도 각 전해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 량을 scale-up 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기술개발을 통하여 성 능이 입증된 용량은 50 kg/batch 이다[12]. 따라서 본 연구에 서 고려한 전해조 용량도 50 kg/batch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전해조의 용융염은 300 kg로 설정하였다.

    전해정련 공정의 운전은 50 kg/batch 장치에서 20 batch 운전을 1 campaign으로 설정한 운전모드에 따라 운전된다. 초기 반응 시작 전에 UCl3 농도를 9 wt%로 설정하여 운전 을 시작하며, 최소 UCl3 농도를 3 wt% 이상으로 유지하도 록 UCl3를 추가로 투입하면서 운전한다[13]. 따라서, 1 campaign 운전동안에도 2~3회 UCl3를 추가하게 된다. UCl3의 추 가 주입은 전해환원공정에서 공급되는 금속전환체의 TRU원 소와 RE 원소가 염화물 형태로 용융염 중으로 용해되며 이 에 따라 UCl3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환원공정에서 TRU 원소는 99% 이상 환원되지만, RE 원소의 환원도는 U/TRU 에 비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 환원된 RE 원 소도 UCl3와의 반응성이 커서 전해정련 전해조로 용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원공정의 증류공정에서 제거 되지 못하고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전해정련공정으로 이 송된 Li2O의 농도에 따라서도 UCl3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즉 금속전환체에 함유되어 동반된 TRU 원소와 RE 원소 및 Li2O는 반응식 (3), (4) 및 (5)에 따라 UCl3와 반응한다. Li2O 와 UCl3 반응(4)의 경우 우라늄 산화물(UO, UO2)가 생성되 어 양극 바스켓에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양극 바스켓 잔류 우라늄 산화물은 전해정련 전해조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환 원공정으로 되돌아가거나 양극 바스켓 잔류물 처리공정에서 처리되어야 하므로, 그 양에 따라 공정 운전에 부담으로 작 용할 수 있다.

    TRU + UCl 3  = TRUCl 3  + U
    (3)

    ( Pu, ΔG = -22 kcal at 500°C, 평형상수 K = 2.2 × 10 6 ) RE + UCl 3 = RECl 3 + U
    (4)

    ( Nd, ΔG = -38 kcal at 500°C, 평형상수 K = 5.5 × 10 10 ) 3Li 2 O + 2UCl 3 = 6LiCl + UO + UO 2 ( ΔG = -148 kcal at 500°C, 평형상수 K = 6.9 × 10 41 )
    (5)

    환원공정에서는 Li2O의 농도를 기본적으로 1 wt%로 유 지하여 반응을 시작하며 환원반응을 위한 환원체 내부에서 의 Li2O의 농도는 운전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류공정을 위한 금속전환체에는 약 10% 정도의 염 이 동반되며 Li2O도 염과 함께 동반되어 증류공정을 거치게 되지만 LiCl염과 달리 쉽게 제거되지 않고 염에 잔류하거나 금속전환체와 반응하여 재산화 반응을 일으킨다. LiCl 염 을 제거하기 위한 증류공정에서 금속전환체에 동반되는 염 10 wt%를 기준으로 Li2O 농도는 1 ~ 10 wt%까지 변화한다 는 가정 하에 전해정련 염의 UCl3 농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금속전환체 중의 각 핵종과 UCl3의 반응특성에 대한 시 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상기 반응식 (3), (4) 및 (5)의 평형상 수, 금속전환체 각 핵종의 환원도 및 고체 액체에서의 확산계 수 등 고려할 여러 가지 인자들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 한 정확한 물질 및 반응 특성 자료들은 모두 찾기가 쉽지 않 으며, 모든 인자들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자체도 이론적 유도 일 뿐 실제 운전 특성과는 거리가 있다. HSC Chemistry code 를 이용한 계산 결과 금속전환체 내의 동반 원소와 UCl3의 반 응에 대한 평형상수 값은 매우 큰 값을 가지므로 본 연구에 서는 TRU 및 RE 원소와 Li2O가 UCl3와 비가역적으로 완전히 반응하여 용해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각 원소의 염화물 의 농도와 소모되는 UCl3의 양은 각각의 반응식에 따른 양론 비에 근거하여 계산되었다. 따라서 그 계산 결과는 실제 운전 결과보다 보수적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 는 실제 전해정련공정 운전에 있어서 참고 기준자료로써 활 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3.2 전해정련 운전에 따른 UCl3 농도변화

    전해정련 운전에 따른 전해조 용융염 중의 염화물 원소 농도 변화를 Fig. 1 에 나타내었다. 초기 UCl3 농도 9 wt% 에서 시작하여 batch 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UCl3 농도가 감 소하고 있으며, 금속전환체에 포함된 TRU 원소와 RE 원소 도 염화물의 상태로 용융염 중에 용해되어 batch 운전에 따 라 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해정련 운전에 따른 우라늄 제 거와 TRU 원소의 축적에 따라 용융염 중 TRU/U 도 증가하 였다. 그러나 순수한 우라늄을 회수하기 위한 전해정련 운전 방법에 따르면 용융염 중 UCl3 농도를 3 wt% 이상 유지하도 록 하고 있으며, 계산 결과는 6 batch 운전이면 약 3.4 wt% 에 도달하여 7번째 batch 운전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추가로 UCl3를 주입하여 UCl3 농도를 증가시킨 후 운전을 수행하여 야 한다. 1 campaign(20 batch) 전해정련 운전의 경우, 최소 UCl3 농도 3 wt%를 유지하며 UCl3의 초기농도를 9 wt%로 맞 추어 추가하면서 운전하였을 때 용융염 중 염화물의 농도를 Fig. 2에 나타내었다. 사용후핵연료의 전해정련 처리에 따라 TRU 원소와 RE 원소가 계속 축적되었으며, UCl3 추가 투입 시 UCl3 의 농도가 증가하여 TRU/U의 비가 일시적으로 감소 하였으나, TRU 원소의 지속적인 축적에 따라 1 campaign 운 전에 따른 TRU/U의 비는 계속 증가하였다. 용융염의 UCl3 농도를 3 wt%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와 두 번 째 단계에서는 6 batch, 세 번째 단계에서는 7 batch 만을 운 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3.3 Li2O 유입에 따른 전해정련 전해조의 UCl3 농도 변화

    전해정련 전해조의 TRU와 RE 원소의 축적과 함께 금속 전환체에 동반되어 전해정련 전해조에 유입되는 Li2O의 영 향을 검토하였다. 금속전환체에 함유된 염 중 1 wt%가 잔류 하여 전해정련 공정에 동반되었을 경우 전해정련 전해조 용 융염 중 UCl3 농도의 변화를 Li2O 유입이 없을 경우와 비교 하여 Fig.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용융염 중 TRU/U 비의 변화 도 비교하여 함께 나타내었다. Li2O 영향이 없을 경우 UCl3 농도를 3 wt%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6 batch까지 운전이 가능하였으나, Li2O 1 wt%가 유입되면 5 batch 까지만 운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Li2O와 UCl3의 반응에 따라 UCl3가 추가로 소모됨으로써 UCl3 농도 감소가 더 크게 나 타난다. 또한 UCl3의 급격한 소모에 따라 용융염 중 TRU/U 의 비도 운전 batch 수 증가에 따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정련 공정의 운전에 있어서 TRU/U의 비가 커지면 회수 되는 우라늄에 TRU원소가 오염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므로, 이 또한 운전 제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Li2O 가 5 wt%까지 동반될 때의 용융염 중 농도변화를 Fig. 4에 Li2O가 10 wt%까 지 유입될 경우를 Fig. 5에 각각 나타내었다. 5 wt% 경우에 는 최대 5 batch까지, 10 wt%의 경우는 최대 4 batch까지 운 전할 수 있으나, UCl3의 운전 최소농도 3 wt%를 고려하면 5 wt%의 경우 4 batch까지, 10 wt%의 경우에는 3 batch 까지 만 운전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즉, 금속전환체에 동 반되는 Li2O 농도의 증가에 따라 UCl3의 농도도 급격히 감소 함을 보여 주었다. 각각의 Li2O 유입 농도에 따른 전해정련 용융염 중 UCl3 의 농도 변화를 Li2O 유입이 없는 경우와 비 교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Li2O 유입 농도가 증가함에 따 라 용융염 중 UCl3의 농도가 감소하며, 운전 가능한 batch 수 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전해정련 운전 중 용융염의 UCl3 농도 유지를 위해 TRU 원소와 RE 원 소의 용해뿐 아니라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유입될 가능성 이 있는 Li2O의 영향이 매우 크며, 이를 고려하여 운전모드를 결정해야 함을 보여준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의 전해환원공정에서 생 산된 금속전환체의 조성 조건이 전해정련공정의 용융염 중 UCl3의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전해정련 공정 운전 시에 사용후핵연료에 함유된 TRU와 RE 원소는 UCl3와 반응하여 염화물의 형태로 공융염에 축적되며 이에 따라 UCl3의 농도가 계속 감소하게 된다. 한편 환원공정에서 첨가된 Li2O는 염 제거를 위한 증류공정에서 금속전환체의 재산화를 일으키거나 증류공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금속전환 체와 함께 동반되어 전해정련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금 속전환체에 동반된 Li2O는 전해정련공정 전해조의 UCl3와 반 응하여 우라늄 산화물을 생성함으로써 전해조의 UCl3 농도 를 낮추게 된다. 전해조의 UCl3의 농도가 낮아지면 회수하는 우라늄에 TRU 또는 RE 원소가 불순물로 동반될 수 있으므로 일정농도 이상의 UCl3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batch의 운전 후 UCl3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전해정련 운전의 운전 batch 수 증가에 따라 UCl3 농도 가 감소하였으며, 전해조의 최소 UCl3 농도 3 wt%를 유지하 기 위해서는 약 6 batch 운전 후에 UCl3 추가해야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전해정련 1 campaign(20 batch)를 운전하기 위 해서는 이러한 UCl3 보충이 3회 이상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전해정련 전해조에 유 입되는 Li2O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Li2O 잔류량에 따라 UCl3 농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며 운전 가능 batch 수가 급격히 감 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해정련 운전 중 용융 염의 UCl3 농도 유지를 위해 TRU 원소와 RE 원소의 용해뿐 아니라 금속전환체에 동반되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Li2O 의 영향도 고려하여 운전모드를 결정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술한 전해환원 생산물인 금속전환체 의 조건(특히 Li2O 농도)에 따른 전해정련 전해조의 UCl3 농도변화, TRU 농도 및 RE 농도의 축적에 대한 평가 결과는 전해정련 운전의 효율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grant number 2017M 2A8A5015079].

    Figure

    JNFCWT-17-3-347_F1.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molten salts by electrorefining operation

    JNFCWT-17-3-347_F2.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molten salts by additional injection of UCl3.

    JNFCWT-17-3-347_F3.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salts at 500℃ by 1 wt% of the residual Li2O.

    JNFCWT-17-3-347_F4.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salts at 500℃ by 5 wt% of the residual Li2O.

    JNFCWT-17-3-347_F5.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salts at 500℃ by 10 wt% of the residual Li2O.

    JNFCWT-17-3-347_F6.gif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chlorides in LiCl-KCl salts by the residual Li2O.

    Table

    Content of major nuclide groups for spent nuclear fuel based on 50 kg/batch

    Reference

    1. K.C. Song, H. Lee, J.M. Hur, J.G. Kim, D.H. Ahn, and Y.Z. Cho,“Status of pyroprocessing development in Korea”, Nucl. Eng. Technol., 42(2), 131-144 (2010).
    2. H. Lee, G.I. Park, K.H. Kang, J.M. Hur, J.G. Kim, D.H. Ahn, Y.Z. Cho, and E.H. Kim,“Pyro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at KAERI”, Nucl. Eng. Technol., 43(4), 317-328 (2011).
    3. J.W. Lee, H. Lee, E.H. Kim, J.H. Lee, D. Vaden, B. Westphal, and M.F. Simpson, “Assessment of a U Product Purity from Pyroprocessing Spent EBR-II Fuel”, J. Korean Radioactive Waste Soc., 7(3), 167-174 (2009).
    4. E.Y. Choi, M.K. Jeon, and J.M. Hur, “Reoxidation of uranium in electrolytically reduced simulated oxide fuel during residual salt distillation”, J. Radioanal. Nucl. Chem., 314(1), 207-213 (2017).
    5. E.Y. Choi, M.K. Jeon, J. Lee, S.W. Kim, S.K. Lee, S.J. Lee, D.H. Heo, H.W. Kang, S.C. Jeon, and J.M. Hur, “Reoxidation of uranium metal immersed in a Li2O-LiCl molten salt after electrolytic reduction of uranium oxide”, J. Nucl. Mater., 485, 90-97 (2017).
    6. M.K. Jeon, T.S. Yoo, E.Y. Choi, and J.M. Hur, “Quantitave calculations on the reoxidation behavior of oxide reduction system for pyroprocessing”, J. Radioanal. Nucl. Chem., 313(1), 155-159 (2017).
    7. I.S. Kim, D.Y. Chung, M.S. Park, J.M. Hur, and J.K. Moon, “Evaporation of CsCl, BaCl2, and SrCl2 from the LiCl-Li2O molten salt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J. Radioanal. Nucl. Chem., 303(1), 223-227 (2015).
    8. I.S. Kim, S.C. Oh, H.S. Im, J.M. Hur, and H. Lee, “Distillation of LiCl from the LiCl-Li2O molten salt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J. Radioanal. Nucl. Chem., 295(2), 1413-1417 (2013).
    9. E.Y. Choi, C.Y. Won, D.S. Kang, S.W. Kim, J.S. Cha, S.J. Lee, W. Park, H.S. Im, and J.M. Hur, “Production of uranium metal via electrolytic reduction of uranium oxide in molten LiCl and salt distillation”, J. Radioanal. Nucl. Chem., 304(2), 535-546 (2015)
    10. H.W. Kang, E.Y. Choi, S.W. Kim, S.S. Hong, M.K. Jeon, S.K. Lee, S.C. Oh, W. Park, and J.M. Hur, “Distillation characteristics of LiCl-Li2O electrolyte for UO2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J. Radioanal. Nucl. Chem., 310(3), 1165-1171 (2015).
    11. J.J. Laidler, J.E. Battles, W.E. Miller, J.P. Ackerman, and E.L. Carls, “Development of pyroprocessing technology”, Progress. Nucl. Energy, 31(1), 131-140 (1997).
    12. H. Lee, G.I. Park, J.W. Lee, K.H. Kang, J.M. Hur, J.G. Kim, S. Paek, I.T. Kim, and I.J. Cho, “Current status of pyroprocessing development at KAERI”, Sci. Technol. Nucl. Install., 2013, 1-11 (2013).
    13. S. Park, S.C. Hwang, S. J. Lee, and H. Lee, “Assessment of lab-scale high-throughput electro-refiner with respect to the anode surface area and UCl3 concentration in LiCl-KCl eutectic salt”, Global 2015, September 22, 2015, Paris, France.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42-861-5851, 866-4157
    - Fax: +82-42-861-5852
    - E-mail: krs@krs.or.kr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