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View PDF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738-1894(Print)
ISSN : 2288-5471(Online)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Vol.15 No.1 pp.27-34
DOI : https://doi.org/10.7733/jnfcwt.2017.15.1.27

Effect of Alkyl Length of Cationic Surfactants on Desorption of Cs From Contaminated Clay

Bo Hyun Kim1,2, Chan Woo Park1, Hee-Man Yang1, Bum-Kyoung Seo1, So-Jin Park2*, Kune-Woo Lee1*
1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ero 989,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2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hakro 99,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Kune-Woo Le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nkwlee@kaeri.re.kr, +82-42-868-8269 So-Jin Par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jpark@cnu.ac.kr, +82-42-821-5684
January 4, 2017 January 31, 2017 March 2, 2017

Abstract

In this study,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Cs from clay according to the hydrophobic alkyl chain length of the cationic surfactant were investigated. Alkyltrimethylammonium bromide was used as a cationic surfactant, and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alkyl chain of the cationic surfactant was varied from –octyl to –cetyl. The adsorbed amount of the cationic surfactant on montmorillonite increased with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alkyl chain, and intercalation of the cationic surfactant into the clay interlayer increased the interlayer distances. The Cs removal efficiency was also enhanced with increasing alkyl chain length, and the cationic surfactant with the cetyl group showed a maximum Cs removal efficiency of 99±2.9%.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사슬에 따른 오염 점토 내 Cs 탈착 특성 연구

김 보현1,2, 박 찬우1, 양 희만1, 서 범경1, 박 소진2*, 이 근우1*
1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89번길 111
2충남대학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번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점토 내 Cs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에 따른 Cs의 탈착특성을 연구 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Alk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사용하였고, 소수성 알킬사슬은 octyl-, dodecyl-, cetyl- 으로 변화시켰다. 소수성 알킬사슬이 길어질수록 montmorillonite 내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이 증가하였고, 계면활성 제의 층간 흡착으로 층간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의 탈착률도 알킬사슬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고 cetyl 그룹을 갖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최대 99±2.9%의 Cs 제거율을 나타냈다.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2M2A8A5025996
    2017M2A8A5015148
    ©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서론

    방사성 오염 토양은 원자력시설의 가동 중 누설 및 유출 등에 의해 주로 발생되며, 대부분의 원자력시설 해체 시 대량 의 방사성 오염 토양이 발견된다. 또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 전사고와 같은 원자력시설의 대형 사고는 광역의 환경오염 을 유발하고 많은 양의 방사성 오염 토양을 발생시킨다. 일 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많은 양의 방사성 오염토양이 발생되 어 이에 대한 처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 구가 시도되었다[1,2]. 개발중인 대부분의 오염토양 처리기 술은 굴착된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ex-situ 처리기술로, 건식 분류나 습식 세척분류 등의 기술이 포함된다. 방사성 오염토 양의 in-situ 정화기술의 경우 방사성 핵종의 2차 확산 우려 가 있으며 기술수준이 낮아 세계적으로 기초연구 수준이다.

    방사성 핵종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는 점토 성분에 오염 이 되며, 특히 방사성 Cs은 2:1형 점토광물에 선택적으로 강 하게 흡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성 Cs은 점토광물 내 층간(interlayer)과 풍화된 모서리(frayed edge site), 점토 의 외부표면 등에 흡착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운모류(illite, mica)가 풍화되며 생성되는 frayed edge site는 Cs에 대해 높 은 선택성을 가지며 Cs과 안정적인 inner-sphere complexation을 형성한다[3-6]. 하지만, 운모류의 경우 Cs 흡착능이 낮고 frayed edge site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점토의 양이온 교환능의 1%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팽창성 점토광 물인 smectite나 vermiculite의 경우에는 Cs 흡착능이 비팽 창성 광물인 illite나 mica에 비해 매우 높으며, 점토광물의 수화된 층상에 주로 흡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Bostick 등의 연구에 따르면 smectite의 한 종류인 montmorillonite도 Cs의 오염 정도가 낮아질수록 탈착되기 어려운 inner-sphere complex에 의한 Cs과 점토광물의 결합이 증 가하게 된다[8]. 또한, 133Cs 핵자기공명분석과 광전자분 석을 활용한 연구들도 smectite와 Cs과의 부분적인 innersphere complexation을 증명하였다[9,10]. 이러한 특성때문 에 montmorillonite 내에 Cs의 부분적인 비가역적 흡착이 자 주 보고되고 있다.

    토양 내 방사성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온 추출(high-temperature extraction), 분쇄 및 세척(milling/ washing), 산 추출(acid extraction) 등의 연구가 실험실 규 모로 시도되었다[1,11]. 다양한 방사성 핵종 중 Cs 이온은 토 양에 대한 흡착 안정성이 높아 제거하기가 어렵고, 비교적 높 은 제거율을 나타내는 고온처리 기술은 높은 에너지 소모와 처리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산처리 등은 많은 양의 2차 폐기물을 발생하기 때문에 적용성에 한계가 있다.

    점토광물의 경우 층간에 흡착된 Cs의 제거를 위해 양이 온 교환에 의한 Cs 탈착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Na+ 이나 K+ 같은 일가 양이온을 이용한 양이온 교환은 대부분 50~60% 보다 낮은 Cs 제거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12-14]. 또 한, 다가 양이온은 음이온성 점토 입자들과 결합하며 점토입 자들의 응집을 유도해 Cs 탈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 무기양이온뿐만 아니라 양이온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Cs 탈착도 시도되었다[15,16]. 본 연구진은 양이온성 계면활 성제인 dodeclytrimethylammonium bromide (DTAB)로 Cs 으로 오염된 montmorillonite와 반응 시 층간 내부에 흡착된 Cs 이온과 이온교환을 통해 비교적 많은 양의 Cs 탈착을 유 도하는 것을 발표하였다[15].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층내 흡착은 습윤상태에서도 층간거리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 이러한 층간 흡착 및 확장이 Cs 탈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오염 토양내 Cs의 높은 제거율을 얻기 위해서는 점토 층간에서의 양이온성 계 면활성제와 Cs 이온과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계면활 성제의 성질에 따른 Cs의 탈착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x-situ 토양처리공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점토광물 내 오염된 Cs의 탈착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alkyl trimethyl ammonium bromide의 점토 내 흡착과 Cs 탈착과의 관계를 복합적으로 연구하였다(Fig. 1. (a)). 특히,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특성에 따른 점토 내 Cs 탈착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octyl-, dodecyl-, cetyl- 그룹 을 소수성 사슬로 갖는 alk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를 사용하였다. 세 종류의 사슬길이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점토 내 흡착량과 점토의 층간거리를 분석하여 층간의 흡착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흡착 특성과 Cs의 탈착 특성을 비 교 분석하였다.

    2.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2.1.실험재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점토는 Ca-montmorillonite (Ca- MMT)로 clay mineral societ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순 도가 98% 이상이며 양이온교환능은 125 meq·100g-1이다 [17,18]. Cs 오염을 위해 사용한 cesium chloride와 점토로부 터 Cs을 제거하기 위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octyltrimethylammonium bromide (OTAB), dodecyltrimetylammonium bromide (D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을 Sigma-Aldrich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대조군 으로 ammonium nitrate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양이 온성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는 Fig. 1. (b) 에 나타내었다.

    2.2.실험방법

    2.2.1.Cs 오염 시료 제조

    Cs으로 오염된 montmorillonite (Cs-MMT)를 제조하기 위하여 35 g의 MMT를 3mM CsCl 용액(350 mL)에 분산시킨 후, 진탕기에 넣어 20℃에서 7일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후 원심 분리를 통해 Cs-MMT를 분리한 후 40℃에서 건조하였 고, 상등액은 흡착되지 않은 Cs의 양을 정량 분석하기 위해 분리하여 syringe filter (pore size = 0.2 μm, cellulose nitrate membrane filter, Whatman)를 사용해 여과하였다. 유도결 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ELAN DRC II, 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여 여과된 상등액에 존재하는 Cs을 정량 분석하였다. MMT 내 Cs 이온의 흡착량(qe)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1)

    q e = ( C o -C e ) V m
    (1)

    qe는 평형 흡착량(mmol·g-1), Co는 초기 농도(mmol· L-1), Ce는 평형 농도(mmol·L-1), V는 용액의 부피(L), m은 흡착제의 양(g)이다.

    Montmorillonite의 Cs 흡착특성을 살펴보기위해 20℃에 서 농도에 따른 Cs 흡착량을 평가하였고, 등온 흡착 결과는 다음 Langmuir 모델로 분석하였다[19].(2)

    q e = q m KC e 1+KC e
    (2)

    qe는 흡착 평형에서 흡착제 단위 g당 흡착된 용질의 양 (mmol·g-1), qm은 최대흡착량(mmol·g-1), Ce는 평형농도 (mmol·L-1), K는 흡착 에너지와 관계된 Langmuir상수를 나 타내고, R2은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의미한다.

    2.2.2.Cs 탈착 실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Cs 탈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소수성 사슬을 갖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OTAB, DTAB, CTAB)와 ammonium nitrate용액을 Cs-MMT 단위 그람당 0.125~2.5 mmol·g-1 clay가 되도록 Cs-MMT 현탁액에(200 mg·10 mL-1) 첨가하여 20℃에서 24시간 동 안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를 통해 고/액 분리하였다. 상등액 을 취하여 0.2 μm pore size의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여 과한 후 액체 내 Cs의 농도를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 (ICP-MS)로 측정하여 Cs 제거효율을 구하였다. Cs-MMT에 흡착된 계면활성제의 양을 계산하기 위하여 여과된 상등액 내에 존재하는 흡착되지 않은 계면활성제의 양을 총유기탄 소분석기(Total Organic Carbon, TOC-VWP, Shimadzu, Japan) 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 처리 후 분리된 점토는 40℃에서 건조시 킨 후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SmartLab diffractometer (Japan))를 통해 d-spacing을 측정 하여 점토의 층간거리를 측정하였다.

    3.결과 및 고찰

    3.1.Montmorillonite 내 Cs 흡착 특성 평가

    Montmorillonite 내 Cs 흡착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50~800 ppm 농도의 CsCl 수용액에 MMT를 분산하여 20℃ 에서 24시간 동안 흡착평형에 도달하도록 유도하였다. 실험 범위에서 MMT의 최대 흡착량은 0.634 mmol·g-1 clay 으 로 나타났다. Fig. 2는 Cs 등온 흡착 결과를 Langmuir 흡착 모델로부터 얻어진 계산 값과 실험값을 나타낸다. Cs에 대 한 등온 흡착 결과를 Langmuir 모델로 적용하였을 때, R2값 은 0.999, 최대흡착량 값은 0.684 mmol·g-1 clay 으로 나 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점토 내 Cs 탈착을 분석하기 위하여 0.0296 mmol·g-1 clay의 Cs으로 오염된 montmorillonite (Cs-MMT)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MMT의 양이온교환능의 ~2.4%에 해당된다.

    3.2.계면활성제의 흡착 특성

    다양한 길이의 소수성 사슬을 갖는 3종류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OTAB, DTAB 및 CTAB 의 Cs-MMT 내 흡착 거동을 살펴보았다. 수용액에 분산된 Cs-MMT 단위 g당 0.125~2.5 mmol·g-1 clay 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20℃ 에서 24시간 반응시켰으며,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사 용된 MMT의 양이온교환능에 비해 0.1~2배에 해당되는 양이다.

    Cs-MMT에 흡착된 계면활성제의 양은 Fig. 3에 나타내 었다.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 록 Cs-MMT에 대한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TAB를 제외한 나머지 계면활성제는 CEC와 동일한 양인 1.25 mmol·g-1 clay 정도에서 포화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CTAB에서는 CEC 이상으로 계면활성제를 넣어주면 지속적으로 흡착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계면활성제의 소 수성 알킬사슬 간의 소수성 결합에 의해서 추가적인 계면활 성제의 흡착이 일어난 것으로 예측된다.

    점토의 층 내부에 계면활성제의 흡착을 살펴보기 위해, 계면활성제 처리 후 건조된 Cs-MMT의 층간거리를 X-선회절 분석을 통해 관찰하였다. XRD에 의한 d-spacing 분석은 유 기물의 점토광물 층간 흡착과 흡착된 유기분자의 배열을 식 별하는데 통상적으로 활용된다[20-22]. XRD 분석을 통해 관 찰되는 d-spacing은 점토광물의 층간거리와 점토광물을 구 성하는 한 개의 층의 두께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의 종류별 농도에 따른 Cs-MMT의 d-spacing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처리 양이 높아질수록 점토 dspacing 증가하였다(Fig. 4. (a)). 또한, CTAB>DTAB>OTAB 순으로 알킬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d-spacing이 증가하 였으며 이는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 증가에 따른 계면활성 제의 흡착량 증가와 일치한다.

    CTAB의 경우, MMT의 CEC의 2배에 해당하는 2.5 mmol ·g-1 clay까지 계면활성제의 처리 양을 증가시켰을 때 점 토의 d-spacing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MT의 CEC에 0.25배에 해당하는 0.3125 mmol·g-1 clay 까지는 d-spacing이 13~14 Å로 유지되었고, CTAB의 첨가 량을 CEC의 0.5배에 해당하는 0.625 mmol·g-1 clay로 증 가 시키는 경우 ~ 22 Å의 d-spacing이 관찰되었다. CTAB의 첨가량을 지속적으로 첨가하여 2.5 mmol·g-1 clay까지 증 가시키면 Cs-MMT의 d-spacing이 ~35 Å까지 확장 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Alk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분자 구조는 Fig. 4. (a)와 같이 ~4 Å의 두께를 가지며, 2:1형 점토광물의 층의 두께가 ~10 Å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1,22]. XRD를 통 해 관찰된 d-spacing에서 점토광물의 층 두께를 제외한 층간 거리를 분석하면, 층 내에 흡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형 태를 예상할 수 있다. 점토 층 두께를 제외한 층간거리가 4~5 Å인 경우는 계면활성제가 단층구조(monolayer)로 흡착되 고, 층간거리가 9~10 Å인 경우 계면활성제가 점토 층과 평 행한 복층구조(bilayer)로 흡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층간거리가 ~22 Å까지 확장된 경우는 삼층구조(trilayer)로 흡착되고, 22 Å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는 점토 저면에 대 하여 급경사 및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파라핀형(paraffin type)으로 흡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 4. (b))[23-25]. Cs-MMT의 경우 CTAB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0.3125 mmol·g-1 clay 까지는 단층구조로 흡착되고, 복층 및 삼층 구조를 거쳐 1.25 mmol·g-1 clay 이상에서는 파라핀 구조 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DTAB의 경우, DTAB의 첨 가되는 양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나 2.5 mmol·g-1 clay 까지 처리하였을 때 층간거리가 최대 ~22Å 까지 확장되어 CTAB와 달리 복층 및 삼층구조로 흡착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알킬사슬 길이가 가장 짧은 OTAB는 의 경우에는 CEC의 1배 이상 반응시켜도 층간거리가 3~4 Å 정도로 단층 구조로 흡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처리에 따른 층간거리 분석 결과, 알킬사슬의 길이가 길어질 수록 흡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층간거리를 더 넓게 확 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3.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알킬사슬에 따른 Cs 탈착 특성

    Cs-MMT로부터 Cs 탈착에 대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알킬사슬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에서 계 면활성제를 24시간동안 20℃에서 반응시킨 후, 계면활성제 별 Cs 제거율을 비교하였다(Fig. 5). 모든 농도조건에서 양이 온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Cs 제거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TAB와 CTAB는 유사 한 Cs 제거율을 나타내어 알킬사슬의 길이가 dodecyl group 이상에서는 소수성 증가가 Cs 탈착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예상된다. DTAB와 CTAB는 농도에 따른 흡착 결과 (Fig. 3)와 유사하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을 증가시킬 때 1.25 mmol·g-1 clay까지 급격히 증가하다 평형에 도달 하게 된다. 알킬사슬 길이가 짧은 OTAB는 계면활성제의 양 이 증가할수록 Cs 제거율은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Cs 탈착률은 2.5 mmol·g-1 clay 조건에서 최대 Cs 제거 율 보였으며, CTAB>DTAB>OTAB 순으로 각각 99±2.9%, 93±9.6%, 21±0.7%로 Cs 제거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흡착과 Cs 탈착의 유 사한 경향성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Cs 탈착은 계면활 성제의 양이온성 head group이 Cs 이온과 교환되며 점토에 흡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Fig. 4. (b)).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Cs 탈착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점토 내 Cs 제거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암모늄 이온 처리 에 의한 Cs 제거율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Cs 제거 율을 같은 농도에서 비교하였다. 암모늄 이온은 Cs과 유사 한 이온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음이온성 점토표면과 강력하 게 이온결합 되기 때문에 점토 내 Cs 제거 연구에 많이 활 용되고 있다[15,26,27]. 암모늄 이온을 2.5 mmol·g-1 clay 의 고농도로 반응하였을 때 7±0.3%의 Cs만 제거가 가능하 였고, 99±2.9%의 제거율을 나타낸 CTAB와 비교하였을 때, 계면활성제의 처리가 점토 내 Cs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증가된 Cs 제 거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Cs과의 이온교환에 통해 Cs을 탈착시킬 뿐만 아니라 점토 층상구조 내에 흡착하여 층간거 리를 확장시켜 탈착된 Cs의 층간 내 확산에 도움을 주기 때 문이라 예상된다.

    4.결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에 따른 montmorillonite 내의 흡착 특성과 Cs 제거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이 길어 질수록 montmorillonite 내 흡착량이 증가하였으며, DTAB 와 OTAB는 점토의 CEC와 유사한 양만 흡착되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알킬사슬이 긴 CTAB는 CEC이상의 농도에서도 소 수성 알킬사슬 간의 소수성 결합에 의해 추가적으로 CTAB의 흡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 제의 처리 양이 증가할수록 점토 층간거리도 증가하였으며,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에 따라 CTAB>DTAB>OTAB 순으 로 층간거리의 확장이 증가하여 계면활성제의 흡착량 증가 와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흡착량에 따라 흡착된 계면활 성제의 형태는 OTAB에서는 단층구조로 치환되었고 DTAB 에서는 trilayer, CTAB에서는 paraffin type으로 예상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 록 Cs 제거율이 증가하였고, CTAB>DTAB>OTAB 순으로 최 대 각각 99±2.9%, 93±9.6%, 21±0.7%의 Cs 제거율을 나타 냈다. 암모늄 이온 처리에 의한 7±0.3%의 Cs 제거율과 비교 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처리가 점토 내 Cs 제거에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Cs으로 오염된 팽창성 점토광물 을 처리할 때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가 긴 계면활성제를 선 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시행하는 한국연 구재단의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과제번호: 2012M2A8A5025996, 2017M2A8A5015148)

    Figure

    JNFCWT-15-27_F1.gif

    (a) Schematic of the Cs removal from montmorillonite based on intercalation of surfactant intercalation and (b) chemical structures of cationic surfactants.

    JNFCWT-15-27_F2.gif

    Cs adsorption isotherm of montmorillonite at 20℃. The line indicates the result of fitting with the Langmuir adsorption model.

    JNFCWT-15-27_F3.gif

    The amount of cationic surfactants adsorbed on Cs-MMT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cationic surfactants added at 20℃.

    JNFCWT-15-27_F4.gif

    (a) Variation of d-spacing of Cs-MMT after the reaction with various amounts of cationic surfactants. Distances were determined from X-ray diffraction analysis. (b) Predicted orientations of cationic surfactants intercalated into Cs-MMT interlayer.

    JNFCWT-15-27_F5.gif

    Cs desorption by cationic surfactants after reaction of Cs-MMT with various amounts of desorption agent.

    Table

    Reference

    1. Ding D , Zhang Z , Lei Z , Yang Y , Cai T (2016) “Reme­diation of radiocesium-contaminated liquid waste, soil, and ash: a mini review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Environ. Sci. Pollut. Res, Vol.23 ; pp.2249-2263
    2. Yamamoto T (2012) “Radioactivity of fission product and heavy nuclides deposited on soil in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J. Nucl. Sci. Technol, Vol.49 ; pp.1116-1133
    3. Poinssot C , Baeyens B , Bradbury MH (1999) “Ex­perimental and modelling studies of caesium sorption on illite” , Geochim. Cosmochim. Acta, Vol.63 ; pp.3217-3227
    4. Okumura M , Nakamura H , Machida M (2013) “Mecha­nism of Strong Affinity of Clay Minerals to Radioactive Cesium: First-Principles Calculation Study for Adsorp­tion of Cesium at Frayed Edge Sites in Muscovite” , J. Phys. Soc. Japan, Vol.82 ; pp.33802
    5. Mukai H , Hatta T , Kitazawa H , Yamada H , Yaita T , Kogure T (2014) “Speciation of Radioactive Soil Parti­cles in the Fukushima Contaminated Area by IP Autora­diography and Microanalyses” , Environ. Sci. Technol, Vol.48 ; pp.13053-13059
    6. Kim YK , Kim KM , Jung HJ , Kang HD , Kim W (2005) “Chracteristics of sediment compositions and Cs adsorption on marine sediment near Wuljin nuclear powerplant” , Econ. Environ. Geol, Vol.38 ; pp.689-697
    7. Wang TH , Li MH , Wei YY , Teng SP (2010) “Desorp­tion of cesium from granite under various aqueous con­ditions” , Appl. Radiat. Isot, Vol.68 ; pp.2140-2146
    8. Bostick BC , Vairavamurthy MA , Karthikeyan KG , Chorover J (2002) “Cesium adsorption on clay minerals: An EXAFS spectroscopic investigation” , Environ. Sci. Technol, Vol.36 ; pp.2670-2676
    9. Kim Y , Cygan RT , Kirkpatrick RJ (1996) “133Cs NMR and XPS investigation of cesium adsorbed on clay min­erals and related phases” , Geochim. Cosmochim. Acta, Vol.60 ; pp.1041-1052
    10. Whitley HD , Smith DE (2004) “Free energy, energy, and entropy of swelling in Cs-, Na-, and Sr-mont­morillonite clays” , J. Chem. Phys, Vol.120 ; pp.5387-5395
    11. Hardie SML , Mckinley IG (2014) “Fukushima reme­diation: status and overview of future plans” , J. Envi ron. Radioact, Vol.133 ; pp.75-85
    12. Fukushi K , Sakai H , Itono T , Tamura A , Arai S (2014) “Desorption of intrinsic cesium from smectite: Inhibi­tive effects of clay particle organization on cesium desorption” , Environ. Sci. Technol, Vol.48 ; pp.10743-10749
    13. Fukushi K , Fukiage T (2015) “Prediction of Intrinsic Ce­sium Desorption from Na-Smectite in Mixed Cation Solutions” , Environ. Sci. Technol, Vol.49 ; pp.10398-10405
    14. Hsu CN , Chang KP (1994) “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 of cesium on soil components” , Appl. Radiat. Isot, Vol.45 ; pp.433-437
    15. Park CW , Kim BH , Yang HM , Seo BK , Moon JK (2017) “Removal of cesium ions from clays by cationic surfactant intercalation” , Chemospher, Vol.168 ; pp.1068-1074
    16. Park CW , Kim BH , Yang HM , Seo BK , Lee KW (2017) “Enhanced desorption of Cs from clays by a polymeric cation-exchange agent” , J. Hazard. Mater,
    17. Shang J , Flury M , Harsh JB , Zollars RL (2010) “Contact angles of aluminosilicate clays as affected by relative humidity and exchangeable cations” , Aspects, Vol.353 ; pp.1-9
    18. Xu S , Boyd SA (1996) “Cationic Surfactant Adsorption by Swelling and Nonswelling Layer Silicates” , Lang muir, Vol.11 ; pp.2508-2514
    19. Langmuir I (1916) “ The Constitution and Fundamental Properties of Solids and Liquids. Part I. Solids” , J. Am. Chem. Soc, Vol.38 ; pp.2221-2295
    20. Lagaly G (1986) “Interaction of alkylamines with different types of layered compounds” , Solid State Ionlcs, Vol.22 ; pp.43-51
    21. Daoudi EM , Boughaleb Y , El Gaini L , Meghea I , Bakasse M (2013) “Modeling of alkyl quaternary ammo­nium cations intercalated into montmorillonite lattice” , Mater. Res. Bull, Vol.48 ; pp.1824-1829
    22. Zhu R , Zhu L , Zhu J , Xu L (2007) “Structure of cetyl­trimethylammonium intercalated hydrobiotite” , Appl. Clay Sci, Vol.42 ; pp.224-231
    23. Lee SY , Kim SJ (2002) “Expansion of smectite by hexadecyltrimethylammonium” , Clays Clay Miner, Vol.50
    24. Paiva LB , Morales AR , Valenzuela Díaz FR (2008) “Organoclays: Properties,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 Appl. Clay Sci, Vol.42 ; pp.8-24
    25. Lagaly G (1981) “Characterization of clays by organic com­pounds” , Clay Miner, Vol.16 ; pp.1-21
    26. Mukai H , Hirose A , Motai S , Kikuchi R , Tanoi K (2016) “Cesium adsorption/desorption behavior of clay minerals considering actual contamination conditions in Fukushima” , Sci. Rep, Vol.6 ; pp.21543
    27. Dzene L , Tertre E , Hubert F , Ferrage E (2015) “Nature of the sit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esium desorp­tion from vermiculite” , J. Colloid Interface Sci, Vol.455 ; pp.254-260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42-861-5851, 866-4157
    - Fax: +82-42-861-5852
    - E-mail: krs@krs.or.kr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